본문 바로가기

Java/Java 이론 정리16

[Java] 4~5일차: 형변환, 연산자(Operator) 1. 형변환: 데이터형 동일해야 연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데이터형을 같게 해주는 작업 ┌ 자동형변환: 작은 데이터→큰 데이터 └ 강제형변환: 큰 데이터→작은 데이터 *** int 이하: 연산되면 결과값은 int로 출력 ex) char 연산시 정수로 변경 2. 연산자 종류 ┌ 단독 사용: 산술, 증감, 대입연산자 └ 조건 사용: 비교, 논리, 부정연산자 → 주로 if/for/while문에 많이 사용 ***(변수+연산자+제어문) → 라이브러리 1) 단항연산자 종류 기능 사용 예시 증감연산자 ++ -- 주로 반복문에서 사용 무조건 +1 무조건 -1 후치연산자 int a=10; int b=a++; => a=11 b=10 b에 a 대입, 다음연산에서 a에 +1 전치연산자 int a=10; int b=++a; => .. 2020. 6. 18.
[Java] 3일차: 자바출력메소드(print/Scanner/ \ ) - println: 다음줄에 출력 - print: 바로 옆에 붙여서 출력 - printf: 서식이 있는 출력(간격, 값 대입 등) - 스캐너 사용 import java.util.Scanner; Scanner scan = new Scanner(System.in); System.out.print("입력받을 내용"); int a=scan.nextInt( ); //정수값을 입력받을 경우 .next(), nextLine( ): 문자열 .nextDouble( ): 실수값 .nextBoolean( ): 논리 2020. 6. 17.
[Java] 2일차: 변수_데이터형/변수 선언 및 초기화 데이터형(자료형, datatype): 메모리의 크기 지정(범위를 보고 가장 큰 것을 기준으로 지정) ((기본형)): 자바에서 제공하는 메모리 크기 1. 정수형 - byte (0,1을 8개 저장) => 8bit(1byte) : 웹에서 주로 사용(파일 읽기, 파일 쓰기, 파일 업로드, 파일 다운로드, 네트워크 전송 11111111 = -128 / 01111111 = 127 (-128~127 저장) - short (0,1 16개 저장, 16bit=2byte) 1111 1111 1111 1111 = -32768 0111 1111 1111 1111 = 32767 => C언어와 호환가능 - int(평상시에 사용하는 모든 정수는 컴퓨터에서 int로 인식) => default (0,1 32개 저장, (약 21억 4천).. 2020. 6. 16.
[Java] 자바의 특징, 명명규칙, 진법, 주석달기, \ 사용 1. Java란? C++ 기반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(상속, 캡슐화, 다형성 적용). 조립식으로 유지보수에 적합. 플랫폼(운영체제)에 독립적, 호환성이 좋음. 자동 메모리 관리(garbage collector 작동)로 프로그래밍에만 집중 가능. 멀티쓰레드 지원. 실행방식 javac (compile) java(interpreter) MainClass.java ----------> MainClass.class -----------> JVM.class -----> 운영체제 ----> 하드웨어 출력 원시 소스 FileName ※표기법 종류 - 카멜 표기법: 이어진 여러개 단어 중 두번째 단어부터 첫자를 대문자로 ex)fileName - 헝가리안 표기법: 변수의 데이터형을 접두어로 사용하는 표기법 ex)str_.. 2020. 6. 15.